Step1. 젠킨스 파이프라인 기본구성
Step2. Github 연결 및 파이프라인 세분화
Step3. Blue/Green 배포
- Green 배포에서 쿠버데쉬보드에서 정상적으로 배포완료된걸 보고 전환해야할듯
Step4. 버튼한번으로 자동배포
while (returnValue != "true true"){
returnValue = sh(returnStdout: true, encoding: 'UTF-8', script: "kubectl get -n anotherclass-221 pods -l instance='api-tester-2214',blue-green-no='2' -o jsonpath='{.items[*].status.containerStatuses[*].ready}'")
echo "${returnValue}"
sleep 5
}
컨테이너 레디상태면 자동으로 배포 (여러개 배포때문에 좋은 스크립트는 아님)
'개발 > 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인강복습)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Sprint 2 - Helm 과 kustomize 비교하며 사용하기 (0) | 2025.04.15 |
---|---|
(인강복습)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Sprint 2 - 배포를 시작하기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(0) | 2025.04.11 |
(인강복습)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Sprint 2 - 손쉽게 데브옵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(1) | 2025.04.11 |
(인강복습)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Sprint 2 - 데브옵스한방정리 (1) | 2025.04.11 |
(인강복습)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Sprint 1 - Application 기능으로 이해하기 - Component 동작으로 이해하기 (0) | 2025.04.10 |